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책추천
- 페이코인
- 금리용어
- 공모주란
- 독서칼럼
- 자기계발책
- 대차대조표계정과목
- 자기계발
- 독서법
- 재테크책
- 경영책추천
- 신년계획
- 독서해야하는이유
- 독서방법
- 재테크책추천
- 새해목표
- 독서장점
- 자기계발책추천
- 독서하는방법
- 책읽는방법
- 경제책추천
- 티스토리챌린지
- 경제경영책추천
- 오블완
- 금리개념
- 독서단점
- 책리뷰
- 금리종류
- 새해결심
- 신년목표
- Today
- Total
목록학우등사: 배운 것이 넉넉하면 벼슬에 오를 수 있다 (107)
공부해 태이야

요즘 공매도에 관한 뉴스를 많이 보는데요. 도대체 공매도가 뭘까 궁금해지더라고요. 이렇게까지 화젯거린데 공매도 용어도 모르고 넘어갈 수 없어서 공부해보기로 했어요. 공매도를 부분 재개했다는 뉴스, 기사를 많이 접하게 되는데요. 공매도를 막았었다? 그런 기사도 봤었어요. 왜 사람들은 공매도를 원하고 공매도는 부분 재개가 됐는지, 그리고 공매도란 무엇인지 알아볼게요. 공매도는 글자 그대로 '빈' 공, '매매' 할 때 매도! 즉 없는 것을 판다라고 해석할 수 있어요. 개인이나 단체가 주식이나 채권같은 것들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하는 행위를 뜻하는데요. 보유하고 있지 않은데 어떻게 매도를 한다는건지 이해가 안되더라고요. 공매도는 왜 생겼는지부터 설명할게요. 시장의 안정화, 가격의 안정화때문이라고 해요. ..

지난 포스팅에서 한국은행은 무슨 목적으로 설립되었는지 어떤 일을 하는지 공부했었어요. 오늘은 증권사가 하는 일에 대해서 공부해볼 생각입니다. 저는 미래에셋증권만 가봤었어요. CMA통장 때문이었는데요. 요즘은 주식 거래하려고 해도 거의 다 비대면 계좌 개설이라서 증권사에 갈 일이 현저히 줄어들었죠. 그래서 저도 다양한 계좌에서 주식 거래를 하고 계좌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증권사에 가 본 적이 없네요. 가장 먼저 증권사가 하는 일을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유가증권을 발행하는 일을 해요. 지난 포스팅에서 유가증권이 무엇인지 공부했었는데요. 간략히 다시 알아볼게요. 유가증권은 권리를 증명한 종이 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종이인거죠. 어음, 수표, 주식, 채권..

지난 포스팅에서 주식미수금과 반대매매에 관해 공부했는데요. 오늘은 한국은행이 하는 일에 대해서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한국은행은 과연 무슨 일을 할까? 왜 돈을 한국은행에서 발행할까요? 한국은행은 국민이 정부에 내는 세금 같은 국고금을 정부 예금으로 받아 뒀다가 정부가 필요로 할 때마다 자금을 내주는 업무를 한대요. 또 정부가 자금이 부족할 때 돈을 빌려주기도 하는, 즉 정부의 은행을 한국은행이라고 한다네요.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이에요. 지급 결제제도를 총괄하고 관리하고 감시하는 일을 하는데요. 또 결제자금이 부족한 금융기관에 최종적인 대부자로서 자금을 지원도 해주는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해요. 한국은행은 매우 중요한 화폐를 발행하는 유일한 기관이죠. 한국조폐공사에 의뢰해서 만든 돈을 보관..

오늘은 지난 포스팅 주식예수금, 주식대용금, 주식증거금에 공부했었던데 이어 주식미수금에 대해서 공부해볼게요. 주식미수금 역시 증거금과 떨어트려 공부할 수 없는 단어라고 하는데요. 왜 그런지 공부해보고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알아볼게요. 가장 먼저 미수금이란 용어 그대로 풀어보면 수금 되지 않은 돈을 말해요. 증권사로부터 내가 돈을 빌려쓸 때 발생하는 비용을 주식미수금이라고 해요. 주식증거금은 50%의 증거금으로 더 큰 금액의 주식을 살 수 있는것이라고 했는데요. 그러니까 내 빚을 말해요. 내가 갚지 못한 돈! 증권사 입장에서는 수금하지 못한 돈인거죠. 미수금이 발생하면 내가 가진 주식을 증권사에서 임의로 돈을 회수하는데요. 이걸 '반대매매'라고 말하더라고요. 돈을 넣고 바로 인출하면 미수금이 잡힌거예요..

오늘은 주식 대용금, 주식 예수금, 주식 증거금을 공부해 볼게요. 주식 대용금은 주린이가 꼭 알아야 할 개념 중 하나라고 하더라고요. 먼저 주식 대용금은 투자자가 보유한 주식이나 채권 등의 유가증권을 일정 비율만큼의 돈으로 환산한 금액을 말한대요. 쉽게 정리하자면 내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있잖아요. 그걸 담보로 사용할 있는 금액이라고 해요. 주식을 담보로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주는 개념이라고 하네요. 주식대용금이라는 용어는 몰랐는데 친구가 전에 내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했었거든요. 그게 주식대용금이라는 건가봐요. 그런데 주식 대용금 용어 공부할 때 유가증권을 일정 비율만큼의 돈으로 환산한 금액이라고 했는데요. 유가증권이 뭔지 궁금한거예요. 유가증권은 사법상 재산권을 표시한..

인덱스 펀드와 ETF 펀드 두 가지에 대해서만 공부했었어요. 펀드 공부하다보니 정말 많은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는데요. 오늘은 펀드 종류가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무슨 뜻인지 용어를 이해하고 투자 방식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펀드란 투자 신탁의 신탁 재산을 말해요. 회사형 투자 신탁에서는 회사 자체가 펀드가 되는데요. 우리 말로 '기금'이라고도 하죠. Fund 특정 목적을 위한 기금을 말해요. 사전적 정의로는 '어떤 목적을 위해서 불특정 다수로부터 모은 돈'이라고 말하기도 해요. 예를 들면 우리가 1억짜리 건물을 사려고 하는데요. 여덟 명이 모여서 나도 살래 나도 살래 하면서 모이는거예요. 그럼 8명이서 1천 2백5십 만원씩 모으는 겁니다. 이렇게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여러 명으로..